본문 바로가기
세상의 소리

초고령화 사회와 고령자 주택 수요의 증가

by 강아지톡톡-아지톡 2024. 10. 5.
반응형

초고령화 사회와 고령자 주택 수요의 증가

안녕하세요, '초고령화 시대의 맞춤형 주택 공급' 시리즈의 첫 번째 글입니다. 오늘은 우리나라가 직면한 초고령화 현상과 이에 따른 고령자 주택 수요 증가, 그리고 정부의 대응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1. 급속한 고령화: 초고령화 사회 진입 임박

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통계청에 따르면,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%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시기가 2025년으로 예상됩니다. 이는 일본, 독일 등 다른 선진국들보다도 빠른 속도입니다.

  • 2000년: 고령화 사회 진입 (65세 이상 인구 7% 이상)
  • 2017년: 고령 사회 진입 (65세 이상 인구 14% 이상)
  • 2025년: 초고령화 사회 진입 예상 (65세 이상 인구 20% 이상)

2. 고령자 주택 수요의 급증

고령 인구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고령자 맞춤형 주택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집니다. 고령자들은 일반 주택과는 다른 특별한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습니다:

  1. 안전성: 낙상 방지 시설, 응급 호출 시스템 등
  2. 접근성: 엘리베이터, 경사로 등 무장애 설계
  3. 의료 서비스: 간호사 상주, 병원과의 연계 등
  4. 커뮤니티: 고독감 해소를 위한 공동 활동 공간
  5. 생활 지원: 식사, 청소, 세탁 등 일상생활 보조

3. 정부의 대응: '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'

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.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2023년 7월에 발표된 '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방안'입니다.

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1. 다양한 유형의 고령자 주택 공급 확대
    • 실버타운(노인복지주택)
    • 실버스테이(민간임대주택)
    • 고령자복지주택(공공임대주택)
  2. 설립 및 운영 관련 규제 완화
    • 부지 확보, 자금 조달 등에 대한 규제 완화
    • 리츠(REITs) 등 민간 자본 참여 유도
  3. 공공 부문 공급 확대
    • 고령자복지주택 공급 물량을 연간 1000채에서 3000채로 확대
  4. 소비자 선택권 확대
    •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고령자들의 선택폭 확대

4. 새로운 시도: 폐교의 활용

정부와 지자체는 고령자 주택 공급을 위해 창의적인 방법도 모색하고 있습니다. 그 중 하나가 폐교를 활용한 실버타운 조성입니다.

서울시교육청은 최근 폐교 재산을 노인복지주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례를 개정했습니다. 이를 통해 도심에 위치한 폐교를 활용해 접근성 높은 실버타운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5. 정부, 지자체, 교육청의 협력 필요성

폐교를 활용한 실버타운 조성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, 고령자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관들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. 정부, 지자체, 교육청이 하나가 되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상생의 노력이 더 필요할 것입니다:

  1. 통합 협의체 구성:
    • 중앙정부, 지자체, 교육청 대표들로 구성된 '고령자 주거복지 통합 협의체'를 만들어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의견을 조율합니다.
  2. 자원 공유 플랫폼 구축:
    • 각 기관이 보유한 부동산, 시설, 인력 등의 자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합니다.
    • 이를 통해 폐교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휴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3. 통합 예산 편성:
    • 고령자 주택 공급을 위한 예산을 통합적으로 편성하여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효율성을 높입니다.
  4. 법제도 정비:
    • 부처간, 기관간 협력을 저해하는 법적 장벽을 파악하고 개선합니다.
    • 예를 들어, 교육청 소유 부지의 용도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5. 전문인력 교류:
    • 각 기관의 전문인력을 상호 파견하여 다양한 관점과 전문성을 공유합니다.
  6. 성과 공유 시스템:
    • 협력 사업의 성과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그 결과를 각 기관이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듭니다.
  7. 주민 참여 강화:
    • 지역 주민, 특히 고령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를 마련하여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정책에 반영합니다.
  8. 민간 협력 모델 개발:
    • 정부, 지자체, 교육청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과의 협력 모델을 개발하여 더 많은 자원과 아이디어를 동원합니다.

이러한 협력 노력을 통해 각 기관의 강점을 살리면서도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 또한, 다양한 관점과 전문성이 결합되어 더욱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6. 결론

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, 이에 대비한 고령자 맞춤형 주택 공급이 시급합니다. 정부의 정책, 지자체의 노력, 그리고 교육청과 같은 다양한 기관들의 창의적인 접근이 결합된다면, 이 복잡한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. 앞으로 이러한 협력 모델이 더욱 발전하고 확대되기를 기대해 봅니다.

다음 글에서는 고령자 맞춤형 주택의 구체적인 유형과 특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반응형